당신의 / 삶을 / 즐겁고 / 풍요롭게
물류뉴스
Home > 고객센터 > 물류뉴스
9일 국민권익위원회는 2020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. 설문조사를 통해 외부청렴도·내부청렴도 점수를 산출해 측정했으며 조직 내 부패사건이 발생하면 점수가 감점된다. 등급은 최고 등급인 1등급에서 최하 등급인 5등급까지 있다.
코바코는 미디어 유관기관 중 가장 높은 2등급을 기록했다. 코바코 외부·내부청렴도는 2등급이었다.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렴도는 지난해와 동일한 3등급이다. 과기정통부 외부청렴도는 지난해와 동일한 2등급, 내부청렴도는 한 단계 상승한 2등급이다. 방송통신위원회 종합·내부·외부 청렴도는 지난해와 같은 3등급이다.
문화체육관광부의 종합청렴도는 최하위권인 4등급이다. 문체부 외부·내부청렴도는 지난해보다 한 단계씩 하락해 각각 3등급, 5등급을 받았다. 옵티머스 펀드 투자로 물의를 빚은 전파진흥원 역시 4등급으로 조사됐다. 전파진흥원 외부청렴도는 3단계지만 내부청렴도는 한 단계 하락한 5등급이었다.
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해 5등급을 기록했지만 올해 4등급으로 한 단계 상승했다. 콘텐츠진흥원 외부청렴도는 2단계 오른 3등급, 내부청렴도는 한 단계 하락한 4등급이다.
이밖에 검찰청 종합청렴도는 한 단계 상승한 2등급을 받았다. 검찰청 외부청렴도는 3등급, 내부청렴도는 2등급이다. 전현희 국민권익위 위원장은 “검찰청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 점수 자체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”고 밝혔다.
반면 경찰청 종합청렴도는 한 단계 하락한 4등급이다. 경찰청 외부청렴도는 4등급, 내부청렴도는 2등급이다. 전 위원장은 “경찰청 유해업소 수사·조사 관련 업무 점수가 낮게 나왔다”며 “유해업소 수사·조사 청렴도가 취약해진 게 청렴도 하락의 원인”이라고 설명했다. 국토교통부 청렴도는 2단계 하락한 5등급이다. 국토교통부 외부청렴도는 5등급, 내부청렴도는 3등급이다.
윤수현 기자 melancholy@mediaus.co.kr
<저작권자 © 미디어스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열기 닫기